frameset 으로 된 페이지의 리로드는 location.reload()로는 가능하지 않다. 각각의 프레임당 location이 다르기 때문. 사실 이 명령도 DOM 구조를 파악하면 쉬운 문제인데, parent.frames.location.reload(); 명령이면 모든 프레임이 리로드 된다.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void main()
{
int size;
char *a;
printf("입력할 문자열의 크기? : ");
scanf("%d", &size);
// 메모리 동적할당.
a = (char *)malloc(sizeof(char) * size);
printf("주소 : ");
scanf("%s", a);
printf("입력된 주소 %s\n", a);
free(a);
}
메모리 동적할당 함수
malloc(), calloc(), realloc(), free() 등
메모리 동적할당의 장/단점
힙 영역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실행 중에 입력되는 자료의 크기에 맞게 기억 공간 확보.
많은 자료를 처리하는 배열의 크기를 실행 시간에 정의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
프로그램 실행 시 기억 공간의 크기를 지정/재조정 가능.
시간이 지체되는 단점.
메모리 동적할당 순서
기억공간을 동적으로 할당 받을 변수를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언.
malloc() 등을 이용하여 기억공간을 동적으로 할당 가능.
기억공간의 사용이 끝나면 free()를 이용하여 기억공간 해제.
malloc()
인자로 할당 받고자 하는 기억 공간의 크기를 byte 단위로 전달.
힙 영역에 그 크기만큼 기억 공간을 할당, 할당한 기억공간의 첫 번째 주소 반환.
void*로 명시하여 어떤 형이든 형 변환 가능.
초기화 안됨(기억공간의 초기화를 위해서는 memset() 사용).
형식 : void * malloc(size_t, number_of_bytes);
기능 : number_of_bytes에서 주어지는 크기만큼 기억 공간을 동적으로 할당.
예 : void * malloc(sizeof(int));
free()
메모리 해제 함수.
힙 영역에 할당된 공간은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유지됨.
할당된 기억 공간을 해제하지 않으면, 공간 부족 현상 발생.
명시적인 반남.
형식 : void free(void *p);
기능 : 동적으로 할당된 기억 공간을 해제할 때 사용.
메모리 동적할당 예 - 1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void main()
{
// 1) 동적할당을 위한 포인터변수 선언.
int *a;
// 2) 기억공간 할당,
// - (int *)는 왼쪽의 포인터변수 a와 자료형을 일치시키기 위한
// 강제 형변환.
a = (int *)malloc(sizeof(int));
if (a == NULL)
{
puts("FAILLURE OF ALLOCATION!");
exit(1);
}
*a = 20;
printf("VARIABLE a : %d\n", *a);
// 3) 할당받은 기억공간 해제.
free(a);
}
메모리 동적할당 예 - 2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pragma warning(disable : 4996)
void main()
{
// 입력받을 문자 수 저장 변수 선언.
int size;
// 1) 동적 할당된 기억공간을 연결할 포인터.
char *str;
printf("INSERT SIZE OF STRING : ");
scanf("%d", &size);
// 2) 입력 받을 문자 수(size + 1)에 맞게 동적 할당.
str = (char *)malloc(size + 1);
if (str == NULL)
{
puts("FAILLURE OF ALLOCATION!");
exit(1);
}
printf("INSERT STRING : ");
// 동적으로 할당된 기억공간에 문자열 저장.
scanf("%s", str);
printf("STRING THAT SAVED AT DYNAMIC MEMORY : \n%s\n", str);
// 3) 할당받은 기억공간 해제.
free(str);
}
calloc()
malloc()와 동일하게 힙 영역에 기억공간 할당.
사용하는 형태와 할당된 기억 공간을 0으로 초기화.
형식 : void * calloc( int n, int size );
기능 : 주어진 size의 크기를 갖는 기억 공간 n개를 할당.
예 : void * calloc( n, sizeof(int));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void main()
{
int i;
int *a;
// int형 크기의 기억공간 5개 할당.
a = (int *)calloc(5, sizeof(int));
for (i = 0; i < 5; i++)
{
// 0으로 초기화 되어 있음.
printf("%d\n", a[i]);
}
free(a);
}
realloc()
이미 할당 받은 기억 공간의 크기를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
형식 : void * realloc( void *p, int size);
기능 : 포인터 p가 가리키고 있는 기억공간의 크기를 지정된 size의 크기로 변경.
int *a;
// int형 크기의 5개 기억공간 할당.
a = (int *)calloc(5, sizefo(int));
...
// int형 크기의 10개 기억공간 재할당.
a = (int *) realloc(a, 10 * sizeof(int));
기억공간 관리함수
memcmp(), memcpy(), memset()
memcmp()
기억 공간에 들어 있는 자료를 주어지는 크기만큼 비교하여, 같은지 여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함수.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void main()
{
// 파일 포인터 선언
FILE *fp;
char c;
// 파일 생성이므로 텍스트 쓰기모드로 오픈.
fp = fopen("putc.tt.txt", "w");
// 파일 개방 여부 체크. -> 에러메세지와 프로그램 종료.
if (fp == NULL)
{
printf("FAIL TO OPEN FILE");
exit(1);
}
// 문자 출력의 끝 확인.
while ((c = getchar()) != EOF)
{
// 문자를 파일로 출력.
putc(c, fp);
}
printf("END OF WHILE!");
fclose(fp);
}
fputs()
문자열을 파일로 출력.
형식 : fputs(문자열변수, 파일포인터변수);
사용 예 : fputs(s, fp);
기능 : 지정된 파일에 문자열(하나의 레코드) 출력.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void main() {
char name[64];
FILE *fp;
// 텍스트 쓰기모드 개방하고, 에러시 프로그램 종료.
if ((fp = fopen("02_fputs.tt.txt", "w")) == NULL) {
puts("CAN NOT OPEN FILE");
exit(1);
}
gets(name);
while (strcmp(name, "end")) {
// 하나의 문자열에 개행문자 추가.
strcat(name, "\n");
// 문자열을 fp가 가르키는 파일에 수록.
fputs(name, fp);
gets(name);
}
printf("BYE!\n");
// 파일 닫기.
fclose(fp);
}
fprintf()
지정된 형식을 가지로 파일에 자료를 출력.
여러 항목의 복합적인 자료로 구성된 레코드를 저장할 때 유용.
형식 : fprintf(파일포인터변수, "출력형식", 변수);
사용 예 : fprintf(fp, "%s %d\n", a, b);
기능 : 지정된 형식대로 자료를 파일포인터 변수가 가리키는 곳에 출력.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void main()
{
FILE *fp;
char no[10], name[10];
int mid, term, rep, att, i;
if ((fp = fopen("03_fprintf.tt.txt", "w")) == NULL)
{
puts("CAN NOT OPEN FILE");
exit(1);
}
// stdout : 모니터를 가리키는 특수한 파일포인터.
fprintf(stdout, "insert no name mid term rep att.");
for (i = 0; i < 5; ++i)
{
scanf("%s %s %d %d %d %d", no, name, &mid, &term, &rep, &att);
// 지정된 형식으로 자료를 파일에 출력.
fprintf(fp, "%10s %8s %3d %3d %3d %3d\n", no, name, mid, term, rep, att);
}
printf("BYE!\n");
// 파일 닫기.
fclose(fp);
}
C 언어에서 입출력 장치를 파일 개념으로 처리
자동적으로 3개의 표준 파일에 대한 포인터를 생성함.
이러한 표준 파일에 대해서는 다로 파일포인터를 선언할 필요가 없음.
표준파일
파일 포인터
대응 장치
입력
stdin
키보드
출력
stdout
모니터
에러
stderr
모니터
순차파일 입력함수
파일 출력함수에 의해 만들어진 순차파일의 저장된 자료를 읽어내는 함수. 자료를 읽을 때는 파일의 끝에 있는 EOF 신호를 만날 때까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작성.
getc(), fgetc(), fgets(), fscanf()
getc()
문자 단위의 파일 입력함수.
fgetc() 함수와 유사.
형식 : getc(파일포인터변수);
사용예 : c = getc(fp);
기능 : 지정된 파일로부터 한 문자를 읽어온다.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void main() {
FILE *fp;
char c;
if ((fp = fopen("01_putc.tt.txt", "r")) == NULL) {
puts("\n\nCAN NOT OPEN FILE");
exit(1);
}
while ((c = getc(fp)) != EOF) {
putchar(c);
}
printf("\n\nBYE!\n");
// 파일 닫기.
fclose(fp);
}
fgets()
파일에 저장된 문자열 자료를 읽을 때 사용.
읽어 낼 문자열의 길이를 반드시 명시.
형식 : fget(문자열변수, 문자열 길이 + 1, 파일포인터 편수);
사용 예 : fget(s, 40, fp);
기능 : 지정된 파일로부터 해당 문자열 길이 만큼의 문자를 읽어 문자열 변수에 저장한다.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void main() {
char name[20];
FILE *fp;
if ((fp = fopen("02_fputs.tt.txt", "r")) == NULL) {
puts("\n\nCAN NOT OPEN FILE");
exit(1);
}
// 파일의 끝에 도달할 때까지 읽기.
while (fgets(name, 20, fp) != NULL) {
printf("%s", name);
}
printf("\n\nBYE!\n");
// 파일 닫기.
fclose(fp);
}
scanf()
숫자, 문자 등 복합적인 자료로 구성된 레코드를 읽을 때 사용.
일반적으로 파일의 끝을 판별하는 feof()와 같이 사용.
형식 : fscanf(파일포인터변수, "입력형식", 변수);
사용 예 : fscanf(sp, "%s %d", &a, &b);
기능 : 파일 포인터가 가리키는 곳으로부터 지정된 형식대로 자료를 읽어온다.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void main() {
FILE *fp;
char no[10], name[10];
int mid, term, rep, att;
if ((fp = fopen("03_fprintf.tt.txt", "r")) == NULL) {
puts("\n\nCAN NOT OPEN FILE");
exit(1);
}
printf("no name mid, term, rep, att\n");
// 파일의 끝인지 확인하는 feof()
while (!feof(fp)) {
// 파일에 저장된 자료의 형식에 맞게 입력형식을 지정해야 함.
fscanf(fp, "%10s %8s %3d %3d %3d %3d\n", no, name, &mid, &term, &rep, &att);
printf("%-10s %-8s %4d %4d %4d %4d\n", no, name, mid, term, rep, att);
}
printf("\n\nBYE!\n");
// 파일 닫기.
fclose(fp);
}
레코드 추가를 위한 사용 모드
a a+ ab ab+
형식 : fp = fopen("파일명", "a");
사용 예 : fp = fopen("파일명", "a");
기능 : 이미 만들어진 순차파일의 끝에 새로운 레코드 추가(append).
#include <stdio.h>
void main() {
FILE *fp;
// 레코드 추가 모드로 파일 개방.
fp = fopen("04_tt.dat", "a");
// 파일이 없으르모 새 파일 생성 후 새 내용 기록.
fputs("asdf \n", fp);
fputs("qwer \n", fp);
fputs("zxcv \n", fp);
fputs("qaz \n", fp);
fputs("wsx \n", fp);
fclose(fp);
}
랜덤파일 처리 (random file)
파일의 임의의 위치에서 자료를 읽거나 쓸 수 있음.
레코드의 길이가 일정함.
순차파일에 비해
장점 : 레코드 탐색이 빠르고 효과적.
단점 : 기억공간 낭비.
랜덤파일 열기
일반적으로 랜덤파일을 입출력할 때는 2진 모드로 파일을 개방.
2진 모드의 특징
텍스트 파일보다 적은 기억공간.
레코드의 길이를 개발자가 결정.
파일 포인터의 위치 변경 가능.
랜덤파일 입출력 함수
fwrite()
레코드의 길이를 지정.
자료저장 변수는 포인터 형.
형식 : fwirte(저장자료변수, 레코드길이, 레코드개수, 파일포인터);
사용 예 : fwrite(name, 10, 1, fp);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void main()
{
FILE *fp;
char name[10];
// 2진 파일 쓰기 모드 개방.
if ((fp = fopen("08_fwrite.dat", "wb")) == NULL)
{
puts("\n\nCAN NOT OPEN FILE");
exit(1);
}
gets(name);
while (strcmp(name, "END"))
{
// 2진 파일 쓰기.
fwrite(name, 10, 1, fp);
gets(name);
}
fclose(fp);
}
fread()
읽기에 성공하면 읽은 레코드 수를 리턴.
형식 : fread(읽을자료변수, 레코드길이, 레코드개수, 파일포인터);
ex : fread(name, 10, 2, fp);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void main() {
FILE *fp;
char name[10];
// 2진 파일 읽기 모드 개방.
if ((fp = fopen("08_fwrite.dat", "rb")) == NULL) {
puts("\n\nCAN NOT OPEN FILE");
exit(1);
}
while (1) {
// 레코드의 개수가 1이 아닌 값이 리턴되면 파일은 끝난다.
if (fread(name, 10, 1, fp) != 1)
break;
puts(name);
}
fclose(fp);
}
프로그램과 입출력 장치(콘솔, 파일, 소켓등)와의 사잉에 이루어 지는 자료의 입력과 출력.
자료의 입출력을 위한 논리넉인 통로 : 스트림
스트림 (stream)
표준 입출력장치를 이용한 자료 입출력.
표준 입출력장치와의 스트림은 프로그램 실행/종료 시 자동으로 생성/소멸 됨.
파일 입출력을 위한 스트림은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소멸 시켜주어야 함.
파일 입출력의 수행 과정
과정
파일을 연다.
파일과 자료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스트림을 생성(fopen() 사용).
입출력을 수행한다.
파일을 닫는다.
생성된 스트림을 소멸시키기 위한 과정(fclose() 사용).
스트림(stream)의 생성
파일과 프로그램과의 통로(논리적인 접속)를 구성.
통로 역할을 파일포인터가 수행.
파일입출력 프로그램 구조
// 파일을 가리키는 파일포인터 선언.
FILE *fp;
// 파일 열기 : 지정한 모드로 열고, fp로 하여금 파일을 가리키게 함.
fp = fopen("파일명", "모드");
// 입출력 수행 : 파일처리함수와 fp를 이용하여 입출력 수행.
...
// 파일 닫기 : 버퍼를 비우고 fp가 가리키는 파일을 닫음.
fclose(fp);
구조체 비트필드 : 주기억장치의 기억공간을 byte 단위가 아닌 bit 단위로 사용하는 방법.
공용체 : 동일한 기억장소에 여러 유형의 자료를 저장하기 위해 정의하는 자료형.
함수와 구조체
함수에서의 구조체 사용
구조체를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
일반 변수를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하는 것과 동일.
매개변수가 구조체인 경우 함수의 형식매개변수를 구조체로 선언.
해당 구조체 전체가 복사되기 때문에 편리.
구조체 전체가 복사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기억공간의 낭비가 심함.
예
#include <stdio.h>
// 함수의 원형 정의 -> struct -> int나 char와 같은 일종의 자료형.
struct num calc(struct num);
struct num
{
int x, y, sum, mul;
};
void main()
{
// 구조체 변수 선언.
struct num num1;
num1.x = 10;
num1.y = 20;
// 피호출함수 calc()에 struct num형 구조체를 매개변수로 넘김.
num1 = calc(num1);
printf("x : %d, y : %d, sum : %d, mul : %d\n", num1.x, num1.y, num1.sum, num1.mul);
}
// 넘겨받은 struct num형 구조체의 멤버끼리 연산, 구조체를 리턴함
struct num calc(struct num num)
{
num.sum = num.x + num.y;
num.mul = num.x * num.y;
return num;
}
구조체 포인터를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
일반적으로 구조체 포인터를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
구조체를 복사하지 않기 때문에 실행속도가 향상, 기억공간의 사용 효율 증가.
예
#include <stdio.h>
struct num calc(struct num *);
struct num
{
int x, y, sum, mul;
};
void main()
{
// 구조체 변수 선언.
struct num num1;
num1.x = 10;
num1.y = 20;
// 참조호출 & 사용.
num1 = calc(&num1);
printf("x : %d, y : %d, sum : %d, mul : %d\n", num1.x, num1.y, num1.sum, num1.mul);
}
// 구조체포인터를 매개변수로 넘겨받음.
struct num calc(struct num *num)
{
num->sum = num->x + num->y;
num->mul = num->x * num->y;
}
typedef
이미 존재하는 자료형에 새로운 이름은 붙이기 위한 키워드.
간단하거나 의미있는 이름으로 바꿀 수 있어 프로그램 이해가 쉽다.
구조체 형을 선언하는데 많이 사용.
형식
typedef 기존_자료형 새로운_자료형_이름;
예
typedef int INT;
// unsigned int 형을 BYTE라는 이름으로 정의.
typedef unsignd int BYTE;
// 컴파일러가 unsigned int val로 해석
BYTE val;
// int *를 PTR로 재정의.
typedef int * PTR;
// int *p1, *p2를 의미.
PTR p1, p2;
#include <stdio.h>
struct data {
int x, y;
};
// data형 구조체를 새로운 이름 DATA로 정의.
typedef struct data DATA;
void main() {
// struct data d = {1, 2}; // ->
DATA d = {1, 2};
printf("d.x : %d, d.y : %d\n", d.x, d.y);
}
typedef를 이용한 구조체 표현의 다른 방법
struct data {
int x, y;
};
typedef struct data DATA;
// 구조체 정의와 typedef 선언을 한번에 표현.
typedef struct data {
int x, y;
} DATA;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h>
struct person {
char name[20];
char gender;
int age;
};
// person 형 구조체를 MAN으로 정의.
typedef struct person MAN;
// unsigned char를 CHAR로 정의.
typedef unsigned char CHAR;
// int *를 PTR로 정의.
typedef int *PTR;
void main() {
// struct person memb; // ->
MAN memb;
// unsigned char data; // ->
CHAR data;
// int * pt; // ->
PTR pt;
strcpy(memb.name, "ASDF");
memb.gender = 'F';
memb.age = 30;
// unsignd char data에 100 대입.
data = 100;
// person형 구조체의 age값 주소를 int* pt에 대입.
pt = &(memb.age);
printf("*pt = %d\n", *pt);
}
구조체 비트필드(bit field)
주기억장치의 기억공간을 byte 단위가 아닌 bit 단위로 사용
프로그램 시 bit 단위의 연산이 필요할 경우 int 형 변수를 사용.
이때 int형은 4 byte (32 bit)이므로 1 bit를 제외한 32 bit의 기억공간 낭비가 발생함.
struct tt {
unsigned short a : 4;
unsigned short b : 2;
unsigned short c : 1;
unsigned short d : 7;
};
// 구조체 비트필드 변수의 선언.
struct tt bit;
구조체 비트필드의 참조
비트필드의 자료형은 int나 unsigned로 선언.
비트필드에 대한 포인터나 배열은 사용 안됨.
비트필드의 전체 크기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int의 크기 이내여야 함.
struct tt
{
unsigned a : 4;
unsigned b : 2;
unsigned c : 1;
unsigned d : 7;
};
struct tt bit;
// 필드에 값 대입
bit.a = 15;
bit.b = 3;
bit.c = 0;
bit.d = 127;
#include <stdio.h>
void main() {
// 구조체 비트필드의 정의.
struct tt {
unsigned a : 5;
unsigned b : 6;
unsigned c : 6;
unsigned d : 4;
};
// 고조체 비트필드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struct tt v = {1, 2, 3, 4};
printf("v : { a : %d, b: %d, c : %d, d : %d }\n", v.a, v.b, v.c, v.d);
// v : { a : 1, b: 2, c : 3, d : 4 }
printf("v's usage is %d byte.\n", sizeof(v));
// v's usage is 4 byte.
}
구조체 비트필드의 기억공간 구조
struct tt {
// 비트필드의 총 수가 int의 크기보다 클 경우 ->
// 비트필드가 2개의 int 사이에 걸쳐 저장될 수 없다.
unsigned short a : 5;
unsigned short b : 6;
unsigned short c : 6;
unsigned short d : 4;
};
공용체의 개념
공용체 (union)
동일한 기억장소에 여러 유형의 자료를 저장하기 위해서 프로그래머가 선언한 자료형.
공용체 안에 포한된 자료들이 같은 기억장소를 공유하여 사용.
사용될 자료의 자료형이 유동적일 경우 기억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
공용체의 예
공용체의 멤버들이 완전히 다른 자료형을 가질 때 기억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
ex :
급여관리
원화로 월급을 지급받는 사람 : 정수형으로 처리.
달러로 월급을 지급받는 사람 : 실수형으로 처리.
공용체를 사용하면 필요에 따라 메모리의 자료형을 선택해서 값 저장 가능.
공용체 정의
union 공용체명 {
field 1;
field 2;
}
union var {
char a;
int b;
float c;
}
공용체 변수 선언
형식 : union 공용체명 변수명;
사용 예 : unioin var abc;
공용체 졍의와 변수 선언 예
// 공용체 정의
union var {
// 공용체 멤버
char a, int b, float c;
};
// 공용체 변수 선언
union var abc;
공용체 변수의 참조 방법
union var
{
char a, int b, float c;
};
union var abc;
// 공용체 변수의 참조
abc.a = 'A';
abc.b = 133;
abc.c = 1234.5678;
공용체의 사용
공용체가 사용 되면
공용체의 멤버 중에서 자료크기(byte 수)가 가장 큰 멤버에 대해서만 기억공간이 할당.
기억 공간의 시작 위치부터 각 부분을 다른 멤버가 공용으로 사용.
공용체 기억공간 표현의 예
union hold {
short int digit;
double big;
char letter;
}
공용체 변수의 참조 예
union hold {
short int digit;
double big;
char letter;
};
union hold fit;
fit.digit = 23; // 2 byte 사용.
fit.big = 1234.567; // 23이 지워지고 1234.567 저장 (8 byte 사용)
fit.letter = 'b'; // 1234.567 삭제, 'b' 저장. (1 byte 사용)
// 구조체배열 2번째 요소 name에 'asdf' 저장.
strcp(x[1].name, "asdf");
// 구조체배열 3번째 요소 gneder에 'F' 저장.
x[2].gender = 'F';
// 구조체배열 3번째 요소 age 값을 변수 K에 저장.
K = x[2].age;
구조체 배열의 사용 예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h>
struct person // person형 구조체 선언
{
char name[8];
int age;
char gender;
};
void main()
{
// 구조체 배열 초기화.
struct person x[3] =
{
{"qwer", 20, 'M'},
{"asdf", 21, 'F'},
{"zxcv", 22, 'M'}};
int i, sum = 0;
for (i = 0; i < 3; i++)
{
// 구조체 배열의 멤버 참조.
printf("name : %s, age : %d, gender : %c\n", x[i].name, x[i].age, x[i].gender);
sum = sum + x[i].age;
}
printf("SUM OF AGE : %d\n", sum);
}
구조체 포인터
포인터를 사용하여 구조체를 다룰 수 있게 함.
구조체를 보다 쉽게 다를 수 있음.
구조체 변수 선언시 * 를 붙여 포인터로 선언.
구조체 포인터는 포인터와 동일하게 주소값을 갖게 되며, 자료가 있는 곳을 가르킴.
구조체 포인터 선언
형식 : struct 구조체_명 *포인터변수_명;
사용 예 : struct person *pt;
// 구조체 변수 man 선언
struct person man;
// 구조체 포인터 변수 pt 선언
struct person *pt;
// 구조체 포인터 변수의 초기화
pt = &man;
#include <stdio.h>
int main()
{
// char형 포인터 변수 cp의 값은 COMPUTER가 수록된 시작주소.
char *cp = "COMPUTER";
int i = 0;
do
{
printf("*(cp + %d) : %c\n", i, *(cp + i));
} while (*(cp + i++) != 0); // *(cp + i)를 구한 후 1 증가.
return 0;
}
/**
* *(cp + 0) : C
* *(cp + 1) : O
* *(cp + 2) : M
* *(cp + 3) : P
* *(cp + 4) : U
* *(cp + 5) : T
* *(cp + 6) : E
* *(cp + 7) : R
* *(cp + 8) :
*/
포인터와 배열의 관계
포인터를 이용한 1차원 배열의 참조와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static int a[] = {10, 20, 30, 40, 50};
int *pt, b, c, d;
// 배열명을 사용하여 배열의 시작주소를 할당 -> a[0]
pt = a;
// a[0] + a[3] = 10 + 40 = 50
b = *pt + *(pt + 3);
// 포인터를 1 이동 a[1]
pt++;
// a[1] + a[4] = 20 + 50 = 70
c = *pt + *(pt + 3);
// a[1] + 3 = 23
d = *pt + 3;
printf("b = %d, c = %d, d = %d\n", b, c, d);
// b = 50, c = 70, d = 23
}
포인터를 이용한 2차원 배열의 참조와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static a[3][3] = {
{1, 2, 3}
, {4, 5, 6}
, {7, 8, -9}
};
int *pt;
// pt = a 또는 pa = &a[0][0]과 동일
pt = a[0];
while (*pt != -9)
{
printf("%d ", *pt);
pt++;
}
}
포인터와 배열은 상호 호환적.
int A[] = {1, 2, 3, 4, 5};
int *p, i;
// -->>
A + i == &A[i];
A[i] == *(A + i);
*( p + i ) == p[i];
#include <stdio.h>
void main()
{
char A[] = "ARRAY";
char *p = "POINTER";
int i;
for (i = 0; i < 5; i++)
{
// 배열을 포인터 형식으로 참조.
printf("*(A + %d) : %c\n", i, *(A + i));
}
for (i = 0; i < 7; i++)
{
// 포인터를 배열 형식으로 참조.
printf("p[%d] : %c\n", i, p[i]);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