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비의 스프링 3.1 VOL.1

스프링 사용자로서 항상 읽어야봐야 한다라는 소리에 두권을 샀지만, 엄청 어렵다는 소문에 읽을 엄두를 못 내던 책이다. 한 권에 800 페이지가 넘는 굉장한 분량에 두번의 정독 시도를 헛탕쳤었다. [유튜브] "개발바닥" 채널에서 저자 이일민님의 인터뷰와, 그 분이 이제는 스프링 부트 인강을 내시면서 이 책을 다시 시도하였고. 이번에는 1독을 끝냈다.
이제 4년차에 들어서면서 읽어보니 '어느 정도 개발을 했고, 좋은 구조와 효율을 고민해본 사람이 봐야 깊은 뜻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겠구나' 라고 느꼈다.

이 책은 객체지향적 설계, 리팩토링, 테스트주도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꾸준히 강조하고 있다. 단순하게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능 / 개념에 대한 설명도 깊게 나와있지만, 이 책의 요점은 스프링이 왜 이렇게 발전했고, 어떤 패러다임을 녹여서 만든건지 엿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따라서 개발 철학에 더 중점을 두고 읽어야 하는 책이라고 생각 된다.

마틴 파울러와 켄트 백이 강조하던 내용이 녹아 있으며, 아래와 같은 조언을 책 전반에 걸쳐 꾸준히 강조하고 있다.

  • '고정된 작업 흐름을 갖고 있으면서 여기저기서 자주 반복되는 코드가 있다면, 중복되는 코드를 분리할 방법을 생각해보는 습관을 기르자.'
  • '비슷한 기능이 새로 필요할 때마다 앞에서 만든 코드를 복사해서 사용할 것인가? 물론 아니어야 한다. 한두 번까지는 어떻게 넘어간다고 해도, 세번 이상 반복된다면 본격적으로 코드를 개선할 시점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인상 깊었던 문장

인상 깊었던 문장들은 다음과 같다. 다 읽어보면 떠오르는 것이 있다. 그렇다, 대부분의 레거시 프로젝트의 소스들은 아래에서 하지 말라는 대로 개발되어 있다.

  계층형 아키텍쳐
  관심, 책임, 성격, 변하는 이유와 방식이 서로 다른 것들을 분리함으로써 분리된 각 요소의 응집도는 높여주고 서로 결합도를 낮춰줬을 때의 장점과 유익이 무엇인지 살펴봤다. 성격이 다른 모듈이 강하게 결합되어 한데 모여 있으면 한 가지 이유로 변경이 일어날 때 그와 상관이 없는 요소도 함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부분까지 변경이 일어나고 그로 인해 작업은 더뎌지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어느 부분을 수정해야할지를 파악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인터페이스와 같은 유연한 경계를 만들어 두고 분리하거나 모아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 흔히 저지르는 실수 중의 하나는 프레젠테이션 계층의 오브젝트를 그대로 서비스 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서블릿의 HttpServletRequest나 HttpServletResponse, HttpSession 같은 타입을 서비스 계층 인터페이스 메소드의 파라미터 타입으로 사용하면 안 된다.
계층의 경계를 넘어갈 때는 반드시 특정 계층에 종속되니 않는 오브젝트 형태로 변환해줘야 한다.
스프링을 사용하면 이런 데이터 중심의 코드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매우 흔하게 발견된다.
데이터와 업무 트랜잭션 중심의 개발에 익숙한 사람들이 많고 이런 아키텍쳐를 의도적으로 선호하는 개발자도 많기 때문이다.
개발자들끼리 서로 간선없이 자신에게 할당된 기능을 독립적으로 만드는 데도 편하다.
최소한의 공통 모듈 정도만 제공되는 것을 사용하고, 그 외의 기능은 단위 업무 또는 웹 화면 단위로 만들어 진다.

하지만 이런 개발 방식은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
객체지향의 장점이 별로 활용되지 못하는데다 각 계층의 코드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복을 제거하기도 쉽지 않다.
업무 트랜잭션에 따라 필드 하나가 달라도 거의 비슷한 DAO 메소드를 새로 만들기도 한다.
또한 로직을 DB와 SQL에 많이 담으면 담을수록 점점 확장성이 떨어진다.
DB는 확장에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확장한다 하더라도 매우 큰 비용이 든다.
잘 작성된 복잡한 SQL 하나가 수백 라인의 자바 코드가 필요한 비지니스 로직을 한번에 처리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과연 바람직한 것일까?
이런 복잡한 sql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을까?
또, 복잡한 sql을 처리하기 위해 제한된 자원인 DB에 큰 부담을 주는 게 과연 바람직한 일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데이터 중심 아키텍쳐의 특징은 계층 사이의 결합도가 높은 편이고 응집도는 떨어진다는 접이다.
화면을 중심으로 하는 업무 트랜잭션 단위로 코드가 모이기 때문에 처음엔 개발하기 편하지만 중복이 많아지기 쉽고 장기적으로 코드를 관리하고 발전시키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스프링은 그 개발철학과 목표를 분명히 이해하고 사용해야 한다.
자바의 근본인 OOP 원리에 충실하게 개발할 수 있으며,
환경이나 규약에 의존적이지 않은 POJO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엔터프라이즈 시스템 개발의 복잡함이 주는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OJO 방식의 개발을 돕기 위해 스프링은 IoC/DI, AOP, PSA와 같은 기능 기술을 프레임워크와 컨테이너라는 방식을 통해 제공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